조민혁 쌤이 전하는 취업을 위한 준비를 들어본다.
[Zoomin] 조님혁 쌤의 취업 X파일 차곡 차곡 '경험'쌓기, 하반기 공채합격자 스팩 공개
조민혁 쌤의 취업 X파일
차곡 차곡 '경험' 쌓기,
하반기 공채 합격자 스팩 공개
취업을 하기위해 어떤 스팩을 갖추어야 하는지 궁금한가? 취업 컨설턴트 조민혁이 지
난해 하반기 공채에 합격한 현직자들의 사례를 통해 우리가 생각하는 스팩 쌓기와 기업
에서 선호하는 스팩에 대해 소개한다.
나의 스팩을 선호하는 회사를 찾아라.
기업에서는 인문계 지원자가 서울연세대 캠퍼스를 나왔든 원주캠퍼스를 나왔든 크게 상관하
지 않습니다. 스펙을 보면 기업이 손해거든요. 지원자의 스팩을 믿고 입사시켜봤더니 실망을
주는 경우가 많았어요. 지방 근무를 보낸다고 하면 퇴사하는 일도 많았고요. 아르바이트 경험
이 있더라도 막상 정직원이 되면 일을 제대로 하지 못하기도 했어요. 아르바이트생은 부담 없
이 일만 하면 되지만 정직원은 매출을 올려야 하는 등 부담 있는 업무를하기 때문에 힘들어하
지요. 하지만 기업들이 스팩을 전혀 안 볼 수는 없습니다. 어느 기업의 경우 지원자가 5만 명
이나 되기 때문에 스팩을 보지 않고는 도저히 지원자들을 걸러낼 수가 없거든요.
이것을 역이용하는 겁니다. 내가 가진 스팩 중에서 무엇을 회사가 선호하는지 알아봐야 합니
다. 회사의 업종마다 선호하는 학교, 전공이 있습니다. 토익 점수가 높다고 그 사람을 선호하
진 않아요.
'나를 필요로 하는 회사, 선호 하는 회사'를찾는 것이 중요해요.
회사마다 '최근 성과를 냈던 직원들의 출신 학교' 에 대해 최근 3~5년 동안의 데이터를 갖고
있습니다.여기에 해외 대학은 거의 없는 편이고, 대부분의 기업들이 한국외대를 많이 선호해
요. 이랜드는 기독교 학교라는 점에서 숭실대를 성호하고요. 외식분야는 경희대나 식품계열을
굉장히 선호합니다. 여대를 선호하는 회사는 찾기 어렵습니다. 이화여대가 좋은 학교이지만
선호하는 회사가 거의 없어요. 이화여대라는 스팩을 내려놓고 선배, 학과사무실, 경력개발센
터에 문의해보세요. 다행히 CJ는 이화여대 출신을 좋아합니다. 취업을 준비할 때 가장 좋은
어떤 회사가 나를 선호하는지조사한 데이터를 가지고 있는거예요.
지원한 회사가 나를 떨어뜨렸다면 '나를 선호하지 않는구나' 하고 다른 회사나 동종 업계를
지원해 보세요. 입사지원서를 내도 자얀스럽게 50~60개는 떨어지는데 전혀 이상하게 생각
하지 마세요. 떨어져도 많이 써 보는건 좋은 겁니다.힘들어하지 마세요. 계속 쓰다보면 취업
되는 순간이 있어요.
강조 드리고 싶은 것은 분명 스팩을 보지 않을 수는 없다는 것입니다. 다만, 스팩에 대한 해
석이 다르다는 이야기를 하고 싶어요. 회사마다 원하는 스팩, 전공이 다르다는 것이죠.
2016년 상반기 공채대비 지금부터 면접 경험을
올해 상반기 공채를 노리고 있다면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지금부터 면접을 보러 다니는 거
예요. 면접은 직접 해보는 수밖에 답이 없어요. 수능시험은 달달 외우고 찍을 수도 있지만 면
접은 자기소개, 하고싶은 말 등 나올 질문이 뻔합니다. 지원자들이 어떻게 하면 자신을 적극
적으로 어필할 수 있는지, 어떻게 말해야되는지 다 알고 있지만 실제 면접장에 가면 면접관을
쳐다보지 못해요. 그래서 연습이 중요합니다. 그리고 자꾸 본인을 다른 사람과 비교하는데, 비
교해서 좋을 것이 없습니다.목적만 잘 생각하시면 되요. 옆 사람이 아무리 좋은 스팩을 이야기
하더라도 '저는 이런 강점이 있습니다'하고 자신있게 말하면 됩니다.
요즘 면접장에 가면 시사적인 것을 많이 물어봅니다. IS, 중국 등에 대한 본인의 생각을 물어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이런 주제들에 대해 미리 주변 사람들과 대화해야 되지요.
창의면접이라 하면 겁먹는 학생들이 많은데 전혀 그럴 필요가 없습니다.
1, 지원한 기업이나사회 이슈에 관심이 많은지
2, 기승전결 구성에 따라 자신의 생각과 해결 방안을 도출해 내는지
를 물어봅니다. 다시 말해 신문을 많이 봐야 하지요. 이공계열 출신자에게도 이러한 사회적인
이슈를 물어봅니다. "2020년이 되면 다문화 가정이 많은데 대안은 무엇인가?" 강남과 강북,
재벌과 서민 등 양극화 문제가 대두될 것이다. 이 문제에 대해 창의적인 방안을 도출하라."등
면접관이 창의력 문제를 물어보지 않고, 이력서에 있는 내용에 대해 물어보기도 합니다. "UC
LA에서 공부했는데 왜 삼성 서울병원에 지원했나요?" "삼성병원의 메르스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나요?" 이런 질문에 대해 얼마나 중립적인 태도로 밝게 자신의생각을 이야기 하는지를
보는 것입니다.
'한 달 내내 토익만, 자소서만' 식으로 한 가지만 준비하려는 구직자들을 보면 너무 안타깝습
니다. 구직활동을 할 때 자신에게 냉정하게 채찍질을 가하면 얼마든지 빨리 끝낼 수 있어요.
한 가지만 하지 말고 면접 연습도 하고, 경험도 쌓으며 함께 준비하길 바랍니다.
도움말 ㅣ 조민혁 담당 ㅣ 원세윤 캠퍼스 리포터 디자인 ㅣ 전진영기자
진즉에 올려드려야 할 내용인데, 늦은감이 있습니다만 내년 취업을 준비하실 분들에게 미리 보기 처럼
도움이 되고자 취업 준비에 무엇이 필요할 것인지 알아보는 시간을 갖었습니다.학생 여러분, 또 취업을
앞둔 자녀를 두신 부모님들에게 조금이나마 위안이 되었으면 합니다. 조민혁 쌤은 취업 컨설턴트로 많
은 학생과 취준생들에게 조언을 아끼지 않는 분입니다. 앞으로도 조민혁 쌤의 고견을 종종 올려 드리겠
습니다.